목록분류 전체보기 (73)
CDW (Coding Discussion World)

안드로이드 App을 만들어 보고 싶어졌고, 어떤 언어와 프레임워크로 만들지 고민하다가 파이썬 공부도 할겸 파이썬을 이용해보기로 했다 했다. 사실 App 만드는데는 파이썬보다 더 좋은 언어들이 많지만 이번에는 파이썬이다. 프레임워크는 어떤것을 사용할까 고민하다가 정보가 제일 많다고 해서 Kivy로 정했다. 그럼 이제 Kivy를 설치해보자. Kivy는 pip로 바로 설치해도 되지만 다른 영역과의 호환성 등으로 인해 가상 환경에서 만드는 것을 추천한다. Create a new virtual environment for your Kivy project. A virtual environment will prevent possible installation conflicts with other Python vers..
파이썬 패키지(라이브러리) 의존성 문제로 가상 환경을 사용한다. 파이썬2에서는 별도로 virtualenv를 설치해야 하지만 파이썬3 버전부터는 venv 으로 바로 가상 환경 생성이 가능하다. 아래는 가상 프로젝트 생성 PS C:\pyminv> python -m venv {프로젝트명} PS C:\pyminv> python -m venv pyminkivy 다음으로 가상 환경에 접속하려면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 프로젝트 폴더 안에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면 생성한 가상 환경에 접속 가능하다. 접속하면 제일 앞에 ({프로젝트명})이 보인다. {프로젝트명}\Scripts\activate PS C:\pyminv> pyminkivy\Scripts\activate (pyminkivy) PS C:\pyminv> 만약 가..
이번에는 파일 읽고, 쓰기를 해보고자 한다. open으로 바로 접근하는 방법이 있고, with을 사용해서 접근하는 방법이 있다. 어떤 것을 써도 상관은 없지만 with을 쓰지 않으면 마지막에 close()를 해줘야 한다. 우선, 파일 읽기다 ('r' 사용) ### with 사용 with open(os.getcwd() + '/test.txt', 'r') as f: a = f.readlines() print(f'a = {a}') ### with 미사용 f = open(os.getcwd() + '/test.txt', 'r') b = f.readlines() print(f'b = {b}') f.close() 둘다 test.txt라는 파일을 정상적으로 읽었다. a = ['test1\n', 'test2\n', 't..
이번편은 파이썬의 logging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해당 기능을 사용하면 특정 error log를 출력할수도 있고 별도의 파일에 저장할수도 있다. 또한 try, except 문을 통해 특정 상황에 원하는 log를 출력할수도 있다. 우선 아래와 같이 설정해놓고 한줄한줄 확인해보자. ### 로깅 이름 및 레벨 (DEBUG, INFO, WARNING, ERROR, CRITICAL) pyminlogger = logging.getLogger("pymin") pyminlogger.setLevel(logging.WARNING) ### 로깅 출력 형식 formatter = logging.Formatter('%(asctime)s - %(name)s [ %(levelname)s ] - %(threadName)..
python의 datetime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 가장 기본적인 형태 import datetime # from datetime import datetime, time, date, timedelta #보통 이렇게 많이 쓴다. now = datetime.datetime.now() print(now) 2022-06-11 23:58:29.150157 2. 내가 원하는 형태로 출력 import datetime now = datetime.datetime.now().strftime('%Y-%m-%d %H:%M') now2 = datetime.datetime.now().strftime('%Y/%m/%d %H:%M') print(now) print(now2) 2022-06-12 00:01 2022/06/12 ..

이전 장에서는 동일 wifi 환경이 아니라 스마트폰의 LTE를 사용하거나 정말 멀리 떨어진 곳에서의 연결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최초 연결을 위해서는 USB를 사용하거나 동일한 wifi 환경에 있어야 했다. 이번 장에서는 스마트폰과 제어PC가 동일 wifi 환경이 아닌 곳에서 adb 최초을 하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전글 참조 2022.05.16 - [Python/Do something] - python - Appium 으로 스마트폰 무선 연동하고 컨트롤하기 - 5 python - Appium 으로 스마트폰 무선 연동하고 컨트롤하기 - 5 이전 장에서는 PC~스마트폰 간의 연동을 위해 USB 또는 동일 Wifi 환경에서의 연동 방법에 대해 알아 보았고, 이번 장에서는 동일 wifi 환경이 아니라..

이전 장에서는 PC~스마트폰 간의 연동을 위해 USB 또는 동일 Wifi 환경에서의 연동 방법에 대해 알아 보았고, 이번 장에서는 동일 wifi 환경이 아니라 스마트폰의 LTE를 사용하거나 정말 멀리 떨어진 곳에서의 연결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전글 참조 2022.05.16 - [Python/Do something] - python - Appium 으로 스마트폰 무선 연동하고 컨트롤하기 - 4 python - Appium 으로 스마트폰 무선 연동하고 컨트롤하기 - 4 지난 장에서는 USB를 통해 PC~스마트폰과의 연결을 진행하였다. *이전편 2022.05.16 - [Python/Do something] - python - Appium 으로 스마트폰 무선 연동하고 컨트롤하기 - 3 python ..

지난 장에서는 USB를 통해 PC~스마트폰과의 연결을 진행하였다. *이전편 2022.05.16 - [Python/Do something] - python - Appium 으로 스마트폰 무선 연동하고 컨트롤하기 - 3 python - Appium 으로 스마트폰 무선 연동하고 컨트롤하기 - 3 이전 편에서 PC환경 구축을 위한 기본적인 세팅은 완료했고, 이제 appium server 및 doctor 설치를 하고 PC와 스마트폰을 연결하고자 한다. 혹시 PC 환경 구축이 끝나지 않았다면 이전 글을 참고하시길 pymin.tistory.com 이번 장에서는 wifi를 통한 PC~스마트폰과의 연결을 해보고자 한다. 스카트폰의 개발자 옵션에서 무선 디버깅을 클릭한다. 이때 스마트폰이 wifi를 잡고 있어햐만 무선 디..